03. 언어치료의 대상
우리나라에서 언어치료를 요구하는 환자는 전체인구의 5% 정도라고 합니다. 발음(조음)장애, 기호언어장애, 말더듬(유창성장애), 음성장애를 가진 사람의 경우 언어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인의 경우 실어증환자, 치열구조 이상으로 인해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 청력이상자, 또는 치매로 인해 인지적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이가 해당됩니다.
04. 실어증
실어증이란 뇌졸중, 뇌종양, 뇌염 등의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상실 또는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상대방의 언어를 이해하고 스스로의 의견을 표현하는데 장애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1) 운동장애성 구음장애 - 발성과 구음에 필요한 신경근 활동의 운동기능장애
- 안면 신경이나 뇌에서 언어중추를 포함한 부위에 손상을 입었을 때
2) 발음장애 - 마비, 실조 등의 운동기능장애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발화에 관한 의도적인 운동행위의 장애
-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충격에 의해 발생
3) 의식장애와 치매
- 의식장애나 지적 저하에 의해 전반적인 정신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사고의 장애
05. 실어증의 원인
뇌혈관질환(92.3%), 뇌외상(3.5%), 뇌종양(2.0%), 기타
06. 실어증의 검사와 평가
1) 고위 뇌기능 선별검사
2) 포괄적 언어기능검사 - 표준실어증검사 : 듣기, 쓰기, 읽기, 말하기 검사
- WAB실어증검사 : 따라하기, 문장 이해력 등을 이용해 검사평가서로 검사
- SLTA-ST : 구문검사, 토켄검사, 중복실어증검사
3) 능력장애에 대한 검사
- 실용의사소통능력검사(CADL : Communication ADL) : 일상생활 장면을 시뮬레이션해서 정보전달장애를 검사
07. 실어증의 치료
|